임사체험을 생각 나게 하는 애니메이션이다. 아니타 무르자니의 책 ' 그리고 모든 것이 변했다.' ' 나로 살아가는 기쁨 ' 이 생각난다. 코코는 애니메이션으로 어떻게 표현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망자의 날을 모티브로 한 영화 코코
이 영화의 시간적 배경이 되는 망자의 날(D a de Los Muertos)은 멕시코 고유의 명절이다. 날짜는 10월 31일부터 11월 2일까지 3일간으로, 마지막 날인 11월 2일은 국가적인 공식 휴일이다. 원래는 아즈텍 제국 시절까지도 거슬러 올라가는 명절이며 가톨릭과는 무관한 행사였으나 멕시코인들이 대부분 가톨릭으로 개종하면서 가톨릭의 모든성인대축일(11월 1일)과 위령의 날(11월 2일)에 편입되어 명절이 되었다. 명절 기간 동안 음식과 고인의 사진으로 꾸민 제사상에 세상을 떠난 조상이나 가족들의 제사를 지내며 추모한다. 이때 죽은 조상을 의미하는 해골 인형과 주황색의 멕시코 화 (Mexican marigold) 꽃잎으로 집 안을 장식하며 해골 분장을 하고 길거리에 나오기도 하는데 이런 풍습 또한 영화의 중요한 모티브이자 중요한 스토리가 된다. 멕시코 마을에 사는 소년 미겔의 집안은 고조할아버지가 음악을 위해 고조할머니와 딸 코코를 버리고 가족을 떠나면서부터 음악을 금지해 버리게 된다. 겔은 자신이 제일 좋아하는 가수인 델라크루즈를 통해 영감을 얻으며 음악을 하려는 열정을 품는다. 미겔은 자신과 델라크루즈 사이에 있던 연결고리를 발견한 직후 델라크루즈를 모방하려다가 우연히 죽은 자의 땅에 들어간다. 은 자의 땅에 들어간 미겔은 죽은 가족의 영혼을 보게 된다. 죽은 자의 땅에서 돌아다닐 수 있게 된 미겔은 델라크루즈를 찾기로 결정을 내린다.
죽음체험과 음악으로 가족의 상처가 치유되다
멕시코의 작은 마을 산타 세실리아에서 대대로 신발 만드는 일을 해온 리베라 가문의 일원인 미겔 리베라의 가족은 음악을 즐기는 걸 절대 용납하지 않는 특이한 집안이다. 왜인고 하니 미겔의 고조할아버지가 음악을 하겠다고 아내 이멜다와 어린 딸 코코를 두고 멀리 떠났다가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는데 그런 남편을 용서 못 한 고조할머니 이멜다가 집안에서 음악의 흔적을 없애버렸기 때문이다. 광장에서 사람들의 구두를 닦아주던 미겔은 이런 집안 사정을 자신의 손님으로 온 음악가에게 이야기해 주고 음악가는 미겔에게 선뜻 기타를 빌려주고 망자의 날 노래 대회에 대해서도 알려준다. 악기가 없는 미겔은 대회 참가를 하지 못하게 되었고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아무한테라도 기타를 빌리려다 모두 퇴짜를 맞고 망연자실해서 서성이다가 공동묘지에 있는 크루즈의 기념관에서 크루즈의 기타를 잠깐 빌릴 생각을 한다. 사람들의 눈을 피해 크루즈에게 사과를 하면서 크루즈의 기타를 슬쩍 하고 기타 줄을 한 번 튕긴 순간 그는 망자의 날에 죽은 자의 물건을 건드린 탓에 유령이 되어버린다. 알고 보니 코코의 아버지 미겔의 진짜 고조할아버지는 헥토르였다. 헥토르 역시 이승에 가본 적이 없기 때문에 미겔이 자신의 후손이라는 걸 모르고 있었다. 헥토르는 한 번만이라도 이승으로 건너가 딸이 살아있을 때 모습을 보고 싶다고 간절하게 말한다. 하지만 이승에 더 이상 기억해 주는 사람이 없으면 망자는 소멸해 버린다. 헥토르는 코코를 그리워하며 어린 그녀에게 종종 불러주곤 했던 "Remember Me"라는 곡을 부르고 미겔은 모두가 아는 그 명곡이 사실 증조할머니를 위해 쓰인 노래였다는 사실에 놀라며 감동한다. 이멜다는 자신과 딸을 버리고 음악을 쫓고 튀어버린 헥토르더러 다신 내 눈앞에 나타나지 말라 했는데 뻔뻔하게 다시 나타났다며 불같이 화를 내지만 그 와중에 헥토르는 점점 잊혀져 가서 골골대고 미겔이 헥토르가 다시 가족들에게 돌아오려다가 크루즈에게 독살당해 불귀의 객이 되어버렸다고 모든 사실을 말한다. 헥토르가 다시 돌아오려 했다가 살해당했다는 진실을 듣고 놀란 이멜다는 그래도 떠난 건 떠난 거니 여전히 용서는 못 하지만 도와주기는 하겠다고 하고 미겔 역시 꿈보다는 가족이 먼저란 사실을 깨달았다고 하며 이멜다의 음악 금지 조건을 받아들여 집에 가겠다고 합의한다. 미겔은 구사일생하여 가족들과 감동의 재회를 하지만 헥토르가 마침내 영원한 소멸 직전 단계까지 이르고 만다. 미겔은 헥토르의 사진을 찾아오겠다며 사과하지만 이미 동이 트기 시작하고 이멜다는 소멸해 가는 헥토르를 끌어안은 채 미겔을 보내주기로 한다. 이멜다는 미겔에 대한 가족들의 사랑은 아무 조건이 없다며 음악을 관둬야 한다는 조건 없이 그냥 가족들을 소중히 여기고 그들이 항상 널 사랑한다는 것만 잊지 말아 달라는 말과 함께 미겔을 축복해 준다. 미겔은 이대로는 못 간다고 울먹이며 처음으로 헥토르를 할아버지라고 부르고 헥토르에게 코코 할머니가 헥토르를 잊지 않도록 하겠다고 외친 순간 이멜다와 헥토르의 축복을 받아 이승으로 돌아오게 된다. 이승에서 정신이 든 미겔은 기타를 집어든 채 황급히 코코에게로 달려간다. 헥토르가 사라질 거라는 것을 아는 미겔은 울먹이며 최후의 수단으로 코코에게 그 옛날 헥토르가 어린 소녀 코코에게 불러주던 노래를 들려주게 된다. 이때도 할머니는 미겔을 막으려 하지만 미겔의 아버지는 할머니를 붙잡으며 말리는 것으로 미겔이 연주를 할 수 있게 해 준다. 미겔이 "Remember Me"를 부르자 곧 코코는 노래를 함께 따라 부른다. 노래로써 아버지를 기억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다른 가족들 모두 크게 놀라고 마지막까지 연주를 막으려고 했던 엘레나 할머니마저도 눈물을 흘리게 된다. 가족을 해체시킨다고 믿었던 음악이 오히려 가족의 사랑을 이어준 것이다. 정신이 맑아진 코코는 작중 처음으로 미겔의 할머니(자신의 딸)를 보고 정확히 "엘레나"라고 부르고 이에 할머니도 감격한다. 미겔은 울면서 코코에게 헥토르가 할머니를 많이 사랑했다고 말하고 코코는 그동안 자신이 보관해 온 생전에 아버지인 헥토르가 보내준 시와 노래가 쓰인 편지 그리고 찢긴 얼굴 부분의 사진을 꺼낸다. 코코가 헥토르를 기억해 낸 데다가 살아생전 헥토르와의 추억을 가족들과 공유함으로써 헥토르는 소멸하지 않게 된다. 사건 이후 1년 뒤 코코는 노환으로 세상을 떠나고 저승에서 부모인 헥토르와 이멜다랑 재회한다. 헥토르와 이멜다는 화해를 한 후 다시 부부로서 함께 하고 있었다. 제단에 사진이 봉헌된 헥토르는 이제 이멜다와 코코와 함께 손을 잡고 이승에 놀러 갈 수 있게 되었다. 다시 돌아온 망자의 날 미겔은 이제 가족들 모두에게 음악을 허락받고 자유롭게 음악을 연주하게 되었고 그의 가족들 역시 음악을 즐기게 되었다.
애니메이션 상을 휩쓸다
제90회 아카데미 시상식 장편 애니메이션 상을 비롯해 각종 영화 시상식에서 애니메이션 상을 휩쓸었다. 족애를 정성스럽게 다룬 훌륭한 명작이라는 데에 이견이 없을 정도로 전반적인 관객들의 평가가 매우 좋으며 대부분의 평론가들한테서도 극찬을 받았다. 린이층 관객은 물론이고 성인층 관객들에게도 자칫 매우 무겁고 진중한 소재로 다뤄질 수 있는 죽음, 그것도 가족의 죽음을 주제로 다룬 애니메이션으로서는 매우 기념비적인 영화이다. 멕시코 특유의 밝은 사후세계관을 이용해 죽음에 대한 거부감을 떨쳐내고 여기에 흥겨운 음악들과 가족애,꿈을 향한 열정까지 섞이기 어려워 보이는 재료들을 완벽하게 조합해 최고의 평가를 이끌어냈다. 그동안 2010년 이후 속편 제작이 대부분이었던 픽사의 행보와 달리 인사이드 아웃에 이어 최근 보기 힘들었던 픽사의 온전한 신작이라는 점에 호평하는 의견이 많다. 속편 제작이 많았던 만큼 최근의 픽사 영화들은 작품성은 좋지만 등장인물과 배경이 그닥 신선하지 않다는 점이 단점으로 꼽혔지만 코코는 완전 새로운 배경과 등장인물이 나오면서도 최고의 작품성을 자랑해 많은 평론가들에게 극찬을 받았다.